쉽게 돈을 벌 수 있다, 고수익을 보장한다면서 높은 수익과 낮은 리스크를 추구하는 투자 심리를 만족시키기 위해 홍보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종국에는 폰지사기였다는 뉴스도 보셨을 겁니다. 루나 코인, 그리고 머지 포인트 등의 뉴스로 폰지사기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요. 다단계는 알아도 폰지사기는 생소하신 분들도 있으실 거예요.
폰지사기(Ponzi scheme)란 무엇인가?
실제로 이윤이 거의 창출되지 않는데 투자자를 모아서 그들의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돌려주는 다단계 형식의 사기 수법입니다.
실제 이윤 모델이 없이 유입되는 투자자들의 돈으로 돌려막기 하는 형태이며, 처음에 수익을 얻은 사람들이 입소문을 내면서 규모가 커지게 되는데 그만큼 수익을 돌려줄 수 없습니다. 투자자의 돈으로만 사업이 운영되기 때문이죠.
초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유입되는 돈보다 지급해야 하는 돈이 많아지게 되고 그러다 보면 실체가 드러나는데, 대체로 도망가버리고 사업체는 파산하니 투자자들은 뒤늦게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 시작하는 시점에 들어간 사람은 수익을 내기 때문에 그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겁니다. 나중에 규모가 커졌을 때 들어가는 사람은 그 수익을 보장받기 어렵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유래?
찰스 폰지(1882~1949)는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한 그럴싸하게 보이는 사업 아이템으로 국제 반신 우표권(IRC)이라는 회신 쿠폰에서 착안하여 국내의 돈으로 해외의 우표를 사서 바꾸는 차익거래를 통해 돈을 번다는 포트폴리오로 투자자를 모집했는데요. 이런 방식으로 신규 투자자들에게 돈을 모아 기존 투자에게 배당하면서 사업을 키워나가다가 발목이 잡혀서 폰지의 사업구조를 확인하다가 세상에 알려져서 다단계 형식의 사기수법을 폰지사기라고 부르게 됩니다.
해외의 유명 폰지사기 메이도프 사건 유대인인 메이도프는 나스닥 증권거래소 위원장을 3년간 역임한 사람입니다. 역사상 최대 폰지 사기범으로 유명합니다. 이 사람은 어떻게 폰지사기를 했을까요?
본인의 이름을 딴 버나드 메이도프 투자증권을 설립해 투자자를 모집했습니다. 처음에는 정상적으로 운영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경기가 어려울 때도 투자자들에게 수익률을 10%씩 돌려주었죠. 투자자들은 10%씩 배당금이 주어지기 때문에 의심을 하지 않았고 안심하고 메이도프에게 투자하는 사람들은 늘어갔습니다. 문제는 이 메이도프가 실제 투자를 해서 돈을 벌지는 않았다는 겁니다. 그러다 금융위기로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이 환매를 요구했는데 투자금이 회수될 리 없었죠.
결국 자수하게 됩니다. 투자자들의 피해규모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인 650억 달러에 달하며 피해자는 HSBC, BNP파리바 같은 국제적인 기업 및 금융기관 등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아주 유명한 사건이 된 거죠.
폰지사기의 응용 수법?
수익률이 높다면서 투자자를 모으는 수법이 아니라 물건을 싸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구매자를 모집합니다. 말도 안 되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를 모으죠. 그런데 보면 조건이 있습니다. 가격이 싸서 배송이 늦어질 수 있다, 고객 응대가 늦어질 수 있다는 조건이 보입니다. 가격이 싼 만큼 어느 정도라면 기다릴 수 있지요. 늦게 구매한 사람의 돈으로 물건을 사고 먼저 입금한 사람들에게 그 물건을 보내죠.
소문이 나면서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어느 정도 수입이 발생되었다고 생각하는 시점에 흔히 말하는 먹튀로 연락 두절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안전하고 또 수익률 높은 투자는 모두가 원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인간의 욕심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유혹하는 게 많은데 조심해야겠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도 놀란 챗 GPT 이슈 및 대화형 AI 인공지능 챗봇 (0) | 2023.02.07 |
---|---|
호가 가격 단위 변경 이유 및 개편내용 (0) | 2023.01.26 |
물가안정 목표로 미국 기준금리인상 자이언트 스텝 단행 (0) | 2022.06.19 |
CNN 비즈니스 공포 및 탐욕 지수 - 극도의 공포상태 (0) | 2022.05.13 |
금 투자 방법 및 장단점 (0) | 2022.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