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로 뉴스 및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저는 챗봇의 기계적인 대답을 좋아하지 않는데 오픈 API에서 나온 챗 GPT는 조금 다른가 봅니다.
이슈의 배경
MS에서 오픈 API라는 업체에 큰 금액을 투자하면서 챗 GPT라는 서비스가 놀라운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주가도 출렁이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관련주식들은 상승 중입니다.
구글이나 메타에서도 챗 GPT와 비슷한 서비스는 이미 개발을 하고 있고, 인공지능에 대해서 연구를 많이 하고는 있지만 섣불리 오픈했다가 우려되는 부분이 있어서 상용화를 고민하고 있었다고는 하는데요.
GPT란?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 생성적 사전학습 변환기로 해석될 수 있는데 생성형 학습 인공지능으로 통용될 듯 싶습니다.
챗 GPT는?
챗 GPT는 대화형 인공지능의 챗봇입니다. 대화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여 답을 주는 서비스인데 GPT 3.5 언어기술을 기반으로 맥락을 예측하고 글을 만들어내는 게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하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 오픈 API라는 회사에서 만들어낸 서비스입니다.
챗 GPT는 5일 만에 회원을 100만 명 모으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도 접속해 보면 접속이 됐다 안 됐다 하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분들도 가입해서 여러 가지 테스트를 해보시더라고요.
공통적으로 나오는 의견은 질문의 맥락을 파악해서 솔루션을 제시해 줘서 놀랍다고 하네요. 그래도 데이터를 모아서 답변을 하기 때문에 어설픈 부분은 있겠지만요. 한글보다는 영어로 질문해야 더 원활하긴 하다고 하네요.
구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 글, 영상, 개발 등의 서비스를 앞으로 확장해서 진행한다고 하면서 AI를 상용화하는 것이 이 챗 GPT로 인해서 더 빨라질 수 있다면 구글, 아마존도 이용자 이탈, 광고수익등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질세라 구글에서도 서둘러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챗 GPT 대항마로 AI '바드' 발표했다고 뉴스가 났는데요. 이제는 AI챗본 경쟁시대가 오는 것 같아요.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빙(Bing)에 챗 GPT 최신 버전을 도입하기로 했고요. 중국의 바이두도 자체 AI챗봇인 ‘어니’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해줄 수 있을지, 인간은 어디까지 제어할 수 있을지 영화 같은 세상이 펼쳐질 것인지 궁금해지고 무서워지기도 합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가 가격 단위 변경 이유 및 개편내용 (0) | 2023.01.26 |
---|---|
폰지사기란 무엇? 또 다른 유형의 폰지사기 (0) | 2022.07.28 |
물가안정 목표로 미국 기준금리인상 자이언트 스텝 단행 (0) | 2022.06.19 |
CNN 비즈니스 공포 및 탐욕 지수 - 극도의 공포상태 (0) | 2022.05.13 |
금 투자 방법 및 장단점 (0) | 2022.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