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용어3 우선주와 보통주 뭐가 다른걸까? 삼성전자를 매수하려고 마음먹은 사람들은 고민하게 됩니다. 뭐지? 왜 ‘삼성전자 우’라는 게 있는 거지? 그렇습니다. 삼성전자는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 우에서 ‘우’는 바로 우선주를 말하는 건데요. 그렇다면 어떤 걸 사는 게 좋을까요? 보통주와 우선주 먼저 보통주와 우선주의 개념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기업의 주식을 구매한다는 것은 기업의 주주가 되는 것이죠. 주주는 해당기업의 경영 의결권을 가지며 배당을 받거나 해서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인데요. 보통주에 투자했다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경영 의결권이란? 의결권 (議決權)이란 주주가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결의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주주의 권리 중 대표적인 공익권으로 주주평등의 원칙에 따라 1.. 2022. 2. 20. 실적발표시즌에 들려오는 어닝쇼크, 어닝서프라이즈 기업의 실제 실적이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것을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라고 하는데 깜짝 실적 발표를 말합니다. 기업의 실적이 예상치보다 낮게 발표되는 경우에는 어닝쇼크(earnings shock)라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주가가 많이 하락하기도 합니다. 얼마 전 이름을 바꾼 미국의 주식 중 메타 또한 실적 발표가 났는데 주가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메타는 실적 발표에서 2021년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난 336억 7000만 달러(약 40조 707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지만 같은 기간 순이익은 112억 2000만 달러에서 102억 9000만 달러로 8% 감소했는데요. 주당순이익은 3.67달러로, 금융정보업체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 평균인 3.84달러를 밑.. 2022. 2. 17. 매파적 발언? 비둘기파? 무슨말이지? 요즈음 인플레이션에 대한 뉴스가 많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특히나 미국 경제 뉴스에 연준(연방준비제도, 미국의 중앙은행)에서 매파적 발언을 했다는 뉴스들도 들려옵니다. 대체 무슨 말인가 싶더라고요. 그래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매파적 발언? 매파로 돌변? 비둘기파적 발언. 이런 말들이 요즘 부쩍 많이 나옵니다. 매파란? 미국에서 정치적으로는 보수 강경파, 경제적으로는 긴축경제 선호자를 의미한다. 미국 3대 대통령인 토머스 재퍼슨이 먼저 사용했다. 사나운 조류 매가 사냥하는 것처럼, 미국에서는 주로 강력한 무력을 사용해서 외교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보수 강경파를 의미한다. 비둘기 파란?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처럼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는 걸 의미한다. ‘매파’(the hawks)와 ‘비둘기파’(.. 2022. 2.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