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인플레이션 이슈로 금융시장이 불안정하다 보니 안전자산이라고 알려져 있는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값도 올라가고 있는 추세인데요. 금 투자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현물을 사는 것이죠. 그러나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현물을 사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각 방법과 장단점을 알아보았습니다.
1. 실물 금 구입
가장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골드바를 구입하는 것인데요. 목걸이나 반지 등은 순금으로 구매하더라도 세공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비싸집니다. 그래서 시세대로 구매 및 판매가 가능한 골드바를 선호하는데요. 이렇게 실물을 구매하는 것의 장점은 직접 소유하고 있다는 안정감입니다. 그러나 실물 금을 매입하게 되면 구입 시 부가가치세가 10% 들어가며 수수료가 5~7% 정도 들기 때문에 금테크를 하기 위해 골드바를 구매한 경우엔 금값이 20%는 올라야 수익이 나는 것이라는 점을 알아두어야겠습니다. 단기 투자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뜻이죠.
2. 골드 통장
시중 은행에서 골드 통장을 만들어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은행에 원화로 입금을 하면 시세에 따라 금의 무게로 바뀌어서 통장에 표시가 됩니다. 0.01g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며 수수료는 1% 수준입니다. 거래방식이 편하고 분실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가 15.4% 적용되고 금으로 인출할 경우에는 부가가치세와 수수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골드 통장의 경우는 국제 금시세와 원달러 환율의 영향을 받는 달러표시 자산입니다. 그래서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 혹은 환차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3. KRX금시장에 투자하는 방법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현물시장인 KRX 금시장을 통해 투자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금을 1g 단위로 사고팔 수 있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며 주식거래와 개념이 비슷합니다. 매매수수료도 0.2~ 0.3% 정도로 저렴한 편이죠.
한국 금 거래소에서 인정한 순금만 거래할 수 있으며 가장 큰 장점은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입니다. 부가가치세를 추가로 내면 현물로 인출이 가능합니다.
4. 금펀드
금 주식형 펀드를 말합니다. 금뿐 아니라 금광회사, 귀금속 관련 회사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요. 회사에 투자를 하다 보니 금값과는 상관없이 투자회사들의 주가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배당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5. 금 선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이용하는 방법
금 ETF는 일반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금 ‘선물’ 가격을 기초자산으로 하기 때문에 유일하게 환율 변동에 노출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에는 레버리지 상품도 존재합니다. 단기 중기 스윙 투자에 적합하다 할 수 있겠네요.
✤ 금 투자 방법별 장단점
장점 | 단점 | |
실물 구입(골드바, 금반지 등) | 금 소유에 대한 만족감 | 부가가치세 등 비용이 높음 |
골드 통장 | 0.01g 단위로 소액투자 가능 | 배당 소득세, 예금자보호범 적용 안됨 |
KRX 금시장 | 소액투자 가능,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 | 환율 변동 |
금선물 ETF | 하락, 레버리지 투자 가능 | 배당소득세,양도소득세 |
금 투자 방법과 각각의 장단점을 같이 알아보았는데요. 안전 자산이라고 해서 무조건 금을 사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네요. 각각 투자방법의 장단점을 확인하시고 알맞은 방법으로 투자하시면 좋겠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가안정 목표로 미국 기준금리인상 자이언트 스텝 단행 (0) | 2022.06.19 |
---|---|
CNN 비즈니스 공포 및 탐욕 지수 - 극도의 공포상태 (0) | 2022.05.13 |
삼성전자 2021 4분기 배당금 입금일 (0) | 2022.03.30 |
GOS 논란으로 인한 삼성전자 주가의 방향은? (0) | 2022.03.08 |
하락장에서 더욱 유념해야 할 유명자산가의 말 (0) | 2022.03.01 |
댓글